artists profile img

박정혁

회화

나는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논리와 고정관념,
사회의 구조적 문제와 모순에 대한 문제 제기를 영상과 설치,
회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발언해 왔다. Park’s Park 시리즈로 시작한 회화 작업은 쏟아져 나오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들-
영화, 방송, 잡지, 광고 등을 차용하고 재조합하여, 전혀 다른 내러티브(narrative)를 만든 것이다. 자본주의적 속성에 관여한 이미지들이 애초에 부여받은 목적성에서 벗어나 다른 문맥에서 소비되며 구축될 수 있도록 이미지의 목적을 전환하서나 전혀 새로운 의미를 부여시키거나 사회적 구조나 구성원들의 관계 속에 숨겨진 의미들을 찾아내고 고발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목적이었다. 결국 작품을 감상할 때 아는 만큼 보인다고들 하지만, 결국 아는
것 때문에, 아는 만큼만 볼 수 밖에 없는 그런 모순에 관람객을 가두기 위한 프로젝트로써 평면작품은 시작되었다.

두번 째 시리즈인 park's memory 시리즈는 표면처리된 은색 PET 필름 위에 유화로 작업한 작품이다. 회화는 모든 가능성이 일어나는 공간이라고 생각한다. 완성된 평면 작업이 견고한 오브제처럼 보이는 캔버스 때문에 작품의 완성과 동시에 생명력을 다한다는 느낌을 받고 낭창낭창한 소재를 찾던 중 은색 PET 필름을 선택하게 되었다. 약국에서 보았던 약을 포장하는 은색
PET 필름은 좋은 것, 소중한 것들을 포장하는 소재인 동시에 주변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소재이며 가벼운 소재란 것이 선택의 이유였다.

세번 째 시리즈인 park's land의 소재는 다양한 변신에 관한 이야기이다. 신화 속 영화 속 아님 내가 바라보는 대상의 변화 가능성 등을 화면애 내포시켰다. 내가 생각하는 변신은 어떤 존재가 a에서 b로 완전히 변하는 과정이며 ‘~같은’은 은유와는 다른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유사성을 전제로 하는 변신이란 소재가 현 시점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최근의 부케의 열풍이나 메타 공간 속의 아바타 등은 무엇이 되고자 하는 욕망의 표출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변신하는 순간의 어떤 시점이나 공간 대상을 표현함으로써 태생적으로 인간에게 내재된 욕망, 욕구들을 표현하고자 했다. 화면 속에서 고전 속 신화의 이야기, 등장인물 등이 구조적으로 해체되는 모습이나 번져서 일그러지는 것처럼 보이는 붓질, 대상이 겹쳐서 보이는 이미지들이 중첩된다. park's park 시리즈의 사실적인 표현과 park's memory 시리즈 필름 표면의 번지는 것 같은 질감이 작품 속에서 동시에 존재한다.

학력

2014 홍익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석사 졸업

2000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약력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시립미술관 외 국내외 개인소장 다수

전시이력

- 개인전

<< 에로·그로·넌센스가 비선형으로 결합할 때 >>, 2023, 아팅 갤러리, 서울

<< 신화, 시대의 재현 >>, 2022, 아터테인, 서울

<< 나른한 부유 >>, 2019, 아터테인, 서울

<< 유동하는 기억 >>, 2019, 대안공간 이포, 서울

<< 감각의 온도 - Park’s Memory >>, 2018, 도로시 살롱, 서울

<< 박정혁, 전채강 2인전 - Zeitgeist >>, 2012, Salon de H, 서울

<< Ordinary People >>, 2011, 갤러리 압생트, 서울

<< 새로움, 그 이상의 발견 >>, 2009, 고양문화재단 어울림누리 미술관, 고양(경기도)

<< 박정혁, 이용백, 조훈 3인전 - IMAGENATION >>, 2009, Salon de H 개관전, 서울

<< 도립 - Resupination>, 2004, 문예진흥원 인사미술공간, 서울

- 단체전

<<3년>>, 2022, 아팅갤러리, 서울

<< 선갤러리 개관45주년전 >>, 2022, 선갤러리, 서울

<< 10의 N승 >> 시즌3, 2022, Ten to the N, 서울

<< 10의 N승 >> 시즌2, 2021, 문화역 서울, 서울

<< 미궁:회화미학 >>, 2021, 원에디션 아트스페이스,서울

<< On & Off >>, 2021, 롯데갤러리, 서울, 부산

<< ᄀ의 순간 >>, 2021, 조선일보 창간 100주년 기념 특별전, 예술의 전당, 서울

<< 모두의 소장품 >>, 2020,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관, 서울

<< Playart 게임으로 읽는 미술>>, 2016, 수원시립아이파크 미술관, 수원

<< 보고싶은 얼굴 >>, 2015, 이한열기념관, 서울

<< No Comment>>, 2013, 서울대미술관, 서울

<< Root of Imagination>>, 2012, 갤러리 압센트, 서울

<< Collage of Memories>>, 2010, Soka 갤러리, 베이징

<< 결핍된 주체 >>, 2010, 인터알리아 아트 컴퍼니, 서울

<< Bain Numerique - Printemps Parfum >>, 2010, 엉갱래뱅 아트센터(Centre des arts d’Enghien les Bains), 파리

<< 미디어-아카이브 프로젝트 >>, 2009, 아르코미술관, 서울

<< 부산 국제 멀-아트 쇼>> , 2009, 부산문화회관, 부산

<< 악동들 - 지금 여기 >>, 2009, 경기도미술관, 안산

<< Korean Eye Moon Generation>>, 2009, 사치갤러리, 런던

<< 블루닷 아시아>>, 2008,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 미디어씨티 서울>>, 2004, 섹션라이브러리아카이브,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In Club >>, 2004, 제5회 광주비엔날레 (5전시실), 광주

<< Digital Salon >>, 2003, 아트스페이스휴, 서울

<< 전주국제영화제(JiFF) MIND섹션 >>, 2003, 전주

<< Cross Talk >>, 2002,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 인천 현대미술제 >>, 2001, 인천 문예진흥원, 인천

<< EMAF (Ehwa Media Art Festival) >>, 2001,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 Networking project >>, 2001,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런던, 타이페이

<< 공장미술제, 눈 먼 사랑(l’amour aveugle) >>, 2000, 샘표간장 본사, 서울

<< 대전 국제 미디어 아트전 >>, 2000,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 Analogue >>, 2000,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 Media art 21 >>, 2000, 세종문화회관, 서울

<< 매체 바이러스 >>, 2000, 한전프라자갤러리, 서울

수상이력

수상이력이 없습니다.

Selected Works